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른 상폐가능성 높은 알트코인 25종은?

금융위원회가 올해 7월 19일 부터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를 위한 보호법을 시행한다고 예고하면서 상장 폐지 가능성이 높은 코인 리스트가 퍼져가고 있습니다. 이용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취지이지만 현재 거래 중인 600개의 가상 자산 중 일부는 거래 중지 후 상장 폐지를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른 상폐가능성 높은 알트코인 25종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영향?

국내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은 현재 약 1,300개가 넘습니다. 그 중 중복상장된 코인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는 약 600개 이상의 코인의 거래가 다양한 거래소를 통해 진행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단독 상장된 가상자산만 걸러낸다면 약 332개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단독 상장된 332개 코인은 규모면이나, 투명성, 보안성 적인 면에서 다른 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이런 코인들을 대상으로 거래중지 및 상장 폐지가 되지 않을까 하는 내용들이 퍼져가고 있습니다.

비단독 상장 코인들도 중요한 사항을 공시하고 있는지, 가상 자산의 운용은 투명하게 진행되고 있는지, 발행량과 유통량의 규모는 적정한지, 보안성은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를 검토한 후 심사할 예정이기 때문에 100% 안전하다고는 볼 수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아래 심사항목에 대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해당 코인들도 Risk off를 해야할 수 있습니다.

  • 발행, 운영, 개발 관련 주체의 역량 및 신용
  • 과거 사업 이력을 비롯한 가상 자산 관련 중요사항 공시
  • 가상 자산 보유자의 의사결정 참여 가능성
  • 가상 자산 운용의 투명성
  • 총 발행량 및 유통량 규모
  • 시가총액과 가상 자산 분배의 적절성
  • 가상 자산 보유자와 이해 상충 가능성
  • 거래소와 이용자 간 이해 상충 가능성 및 해소방안
  • 분산 원장와 관련된 보안 내용

상폐가능성 높은 알트코인 25종은?

위 심사 항목을 충족하지 못하는 코인인 경우에는 1차적으로 주의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더 중요하게 봐야 하는 점은 해외 거래소에 상장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거래 지원이 종료된다고 할지라도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가 가능하기만 한다면 상폐 후에 최소한의 금액이라도 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가진 코인들이 불안하다면 해외 거래서에서 거래가 가능한 코인들 위주로 리벨런싱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해외 등에서 규제 체계가 잘 갖춰진 시장에서 2년 이상 거래된 가상 자산의 심사는 완화 대상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조건을 가진 코인을 매수하시는 것이 심적으로 부담이 적을 것입니다.

  • 해외 거래소 거래 가능 여부 확인
  • 규제 체계가 갖춰진 시장에서 2년 이상 거래 여부
  • 심사항목 기준 충족

앞서 언급한 심사 항목에 충족하지 않거나,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가 되지 않는 코인이라면 지금 즉시 정리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번 하락으로 거의 대부분의 코인이 하락을 하였기 때문에 이 기회에 돈을 버시는 분들도 분명 나타날 것입니다.

아래는 상폐 가능성이 높은 코인들이라고 돌고 있는 코인입니다. 관련 코인을 살펴보신 후 위험 여부를 개별적으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토카막(업비트 99.9%, 단독상장, 김치코인)
  • 스트라이크(업비트 99.9%, 유통량 불분명)
  • 알파쿼크(업비트 50%, 유통량 불분명)
  • 센티넬 프로토콜(업비트 99.9%, 단독상장, 김치코인)
  • 메타디움(업비트, 빗썸 100%, 김치코인)
  • 메디블록(업비트 93%, 김치코인)
  • 크레딧(업비트, 빗썸 95%, 김치코인, 유통량 불분명)
  • 썬더(업비트, 빗썸 99%)
  • 샌드박스(업비트, 빗썸 99%, 김치코인)
  • 모스(업비트 100%, 김치코인)
  • 디센트럴랜드(업비트, 빗썸 98%, 김치코인)
  • 아하(업비트 100%, 김치코인)
  • 멀티버스엑스(업비트 70%, 유통량 불분명)
  • 하이파이(업비트 80%, 유통량 불분명)
  • 펀디엑스(업비트, 빗썸 80%, 김치코인)
  • 스토리지(업비트, 빗썸 80%)
  • 히포크랏(업비트, 빗썸, 코인원 100%, 김치코인)
  • 피르마(업비트, 빗썸 90%, 김치코인)
  • 스트라티스(업비트, 빗썸 55%)
  • 보라(업비트, 빗썸 95%, 김치코인)
  • 게임빌드(업비트 100%, 티커정보 조회 불가)
  • 넴(개발중단 → 심볼 리브랜딩)
  • 웨이브(바낸 상폐 /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실패)
  • 위믹스(가상자산 거래소 불법)
  • 밀크(업비트 80%, 김치코인)

마치며

지금까지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으로 인해 주의 해야 할 만한 코인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알트코인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에 비해 위험이 높은 자산입니다. 하루에도 수도 없이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것이 알트코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위험을 헷지하기 위해 시간을 조금 투자하여 위험도를 낮춰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서울보증보험 없이 받을 수 있는 대출 추천 Best3!
청약저축 월납입 인정액 25만원 인상! 언제부터 적용될까?

Leave a Comment